Java 89

[Java] 이항 연산자 2022.10.21

이항 연산자 : 피연산자가 두 개인 연산자산술 연산자, 대입연산자, 비교 연산자, 논리 연산자, 비트 논리 연산자, 비트 이동 연산자  1. 산술 연산자 [Java] 산술 연산자일반적으로 말하는 사칙연산 [ 더하기 (+), 빼기 (-), 곱하기 (*), 나누기 (/) ] + 나머지 연산자 (%) : 총 5개 boolean 타입을 제외한 모든 기본 타입에 사용할 수 있음 연산식 설명 피연산자 + 피연산자bean-soup-99.tistory.com  2. 문자열 연결 연산자 [Java] 문자열 연결 연산자문자열 연결 연산자 (+) : 문자열을 서로 결합하는 연산자 + 연사자 : 산술 연산자, 부호 연산자인 동시에 문자열 연결 연산자임 피연산자 중 한쪽이 문자열 ➡+ 연산자가 문자열 연결 연산자로 사bean-..

[Java] 비트 반전 연산자 2022.10.21

비트 반전 연산자 : 피연산자를 2진수로 표현했을 때 비트값인 0을 1로, 1은 0으로 반전정수 타입 (byte, short, int, long)의 피연산자에서만 사용됨부호 비트인 최상위 비트를 포함한 모든 비트가 반전➡ 부호가 반대인 새로운 값이 산출됨연산식설명~10 ➡  산출결과 :  -11  ➡  * 비트 반전 연산자를 사용할 때 주의할 점비트 반전 연산자의 산출 타입은 int 타입이 됨피연산자는 연산을 수행하기 전에 int 타입으로 변환되고 비트 반전이 일어남비트 반전 연산자 EX)byte v1 = 10;byte v2 = ~v1; //컴파일 에러int v3 = ~v1; // 맞는 표현 비트 반전 연산자의 결과를 이용하여 부호가 반대인 정수를 구할 수 있음-  비트 반전 연산자의 산출 값 + 1 부..

[Java] 증감 연산자 2022.10.21

증감 연산자 : 변수의 값을 1 증가 ( ++ ) 시키거나 1 감소 ( -- ) 시키는 연산자 boolean 타입을 제외한 모든 기본 타입의 피연산자에 사용할 수 있음 연산식 설명 ++ 피연산자 다른 연산을 수행하기 전에 피연산자의 값을 1 증가시킴 -- 피연산자 다른 연산을 수행하기 전에 피연산자의 값을 1 감소시킴 피연산자 ++ 다른 연산을 수행한 후에 피연산자의 값을 1 증가시킴 피연산자 -- 다른 연산을 수행한 후에 피연사자의 값을 1 감소시킴 ++ 연산자 : 피연산자의 기존 값에 1을 더해서 그 결과를 다시 피연산자에 저장 EX) num 변수의 기존 값 : 5 -> ++num 연산 후 num 변수의 값 : 6 -- 연산자 : 피연산자의 기존 값에 1을 뺀 후 그 결과를 다시 피연산자에 저장 EX..

[Java] 부호 연산자 2022.10.21

부호 연산자 : 양수 및 음수를 표시하는 +, - boolean 타입과 char 타입을 제외한 나머지 기본 타입에 사용할 수 있음 연산식 설명 + 피연산자 피연산자의 부호 유지 - 피연산자 피연산자의 부호 변경 +, - 는 산술 연산자이기도 하고, 부호 연산자 이기도 함 부호 연산자로 쓰일 때는 하나의 피연산자만 필요 일반적으로 정수 및 실수 리터럴 앞에 붙여 양수 및 음수를 표현 int i1 = +100; int i2 = -100; double d1 = +3.14; double d2 = -10.5; 부호 연산자를 정수 또는 실수 타입 변수 앞에 붙일 수도 있음 변수를 양수 및 음수로 표현하기보다 변수 값의 부호를 유지하거나 바꾸기 위해 사용 int x = -100; int result1 = +x; //..

[Java] 단항 연산자 2022.10.21

단항 연산자 : 피연산자가 단 하나뿐인 연산자 부호 연산자 ( +, - ), 증감 연산자 ( ++, -- ), 논리 부정 연산자 ( ! ), 비트 반전 연산자 ( ~ ) 1. 부호 연산자 [Java] 부호 연산자 1. 부호 연산자 부호 연산자 : 양수 및 음수를 표시하는 +, - boolean 타입과 char 타입을 제외한 나머지 기본 타입에 사용할 수 있음 연산식 설명 + 피연산자 피연산자의 부호 유지 - 피연산자 피연 bean-soup-99.tistory.com 2. 증감 연산자 [Java] 증감 연산자 증감 연산자 : 변수의 값을 1 증가 ( ++ ) 시키거나 1 감소 ( -- ) 시키는 연산자 boolean 타입을 제외한 모든 기본 타입의 피연산자에 사용할 수 있음 연산식 설명 ++ 피연산자 다른..

[Java] 연산자 2022.10.20

1. 연산자와 연산식 x + y x - y x * y + x x == y 연산 (operations) :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처리하여 결과를 산출하는 것 연산자 (operator) : 연산에서 사용되는 표시나 기호 EX) +, -, *, == 피연산자 (operand) : 연산되는 데이터 EX) x, y, z 연산식 (expressions) : 연산자와 피연산자를 이용하여 연산의 과정을 기술한 것 자바 언어에서는 다양한 연산자를 제공 연산자들은 피연산자를 연산해서 값을 산출 산출되는 값의 타입은 연산자별로 다름 EX) 산술 연산자 - 숫자 타입 (byte, short, int, long, float, double) 비교 연산자 / 논리 연산자 - 논리 타입 (boolean) 연산자 종류 연산자 피연산자..

[Java] 타입 변환 2022.10.20

타입 변환 : 데이터 타입을 다른 데이터 타입으로 변환하는 것 - 타입 변환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음 자동(묵시적) 타입 변환 강제(명시적) 타입 변환 1. 자동 타입 변환 자동 타입 변환 (Promotion) : 프로그램 실행 도중에 자동적으로 타입 변환이 일어나는 것 작은 크기를 가지는 타입이 큰 크기를 가지는 타입에 저장될 때 발생 byte(1) 어떠한 int 값이라도 정밀도 손실 없이 double 타입으로 변환가능 double타입 값을 원래 int 타입으로 변환해도 손실없이 복원 public class FromIntToDouble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int num1 = 123456780; int num2 = 123456780; double ..

[Java] 실수 타입 (float, double) 2022.10.11

소수점이 있는 실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타입 크기에 따라 float과 double이 있음 실수 타입 float double 바이트 수 4 8 정수 타입보다 훨씬 더 큰 범위의 값을 저장할 수 있음 - float와 double의 메모리 사용 크기는 각각 int와 long과 크기가 같지만 저장 방식이 다르기 때문 실수는 정수와 달리 부동 소수점(floating-point) 방식으로 저장됨 부동 소수점 방식 실수를 표현하는 방식 실수를 컴퓨터상에서 근사하여 표현할 때 소수점의 위치를 고정하지 않고 그 위치를 나타내는 수를 따로 적는 것 유효숫자를 나타내는 가수(假數)와 소수점의 위치를 풀이하는 지수(指數)로 나누어 표현 가수 m은 0 ≤ m < 1 범위의 실수이어야 함 EX) 실수 1.2345를 부동 소..

[Java] int 타입 2022.10.11

4byte (32bit)로 표현되는 정수값을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타입 저장할 수 있는 값의 범위 : -2,147,483,648 ~ 2,147,483,647 ( -231 ~ (231- 1) ) 자바에서 정수연산을 하기 위한 기본 타입 byte 타입 또는 short 타입의 변수를 + 연산 -> int 타입으로 변환된 후 연산 연산의 결과 또한 int 타입 자바에서 정수 연산을 4byte로 처리하기 때문 byte 타입이나 short 타입으로 변수를 선언한 것과 int 타입으로 변수를 선언한 것의 성능차이는 거의 無 메모리가 크게 부족하지 않다면 정수를 저장할 때는 일반적으로 int 타입을 사용 정수값을 직접 코드에서 입력할 경우 8진수, 10진수, 16진수로 표현할 수 있음 8진수 : 숫자 앞에 '0' 붙..

[Java] char 타입 2022.10.11

유니코드 (Unicode) 자바는 모든 문자를 *유니코드 (Unicode)로 처리 *유니코드 : 세계 각국의 문자들을 코드값 으로 매핑한 국제 표준 규약 하나의 문자에 대해 하나의 코드값을 부여 EX) 영문 'A' => 0x0041 / 한글 '가' => 0xAC01 인코딩 : 각 문자에 따른 특정한 숫자 값 (코드 값)을 부여 디코딩 : 숫자 값을 원래의 문자로 변환 0~65535 범위의 2byte 크기를 가진 정수값 0~127 : 아스키 (ASCII) 문자 (특수기호 및 영어 알파벳) 44032~55203 : 한글 11172자 한글과 같은 복잡한 언어를 표현하기 위한 표준 인코딩 UTF-8, UTF-16이 대표적 *아스키(ASCII) : 1바이트로 영문자, 숫자, 특수문자 등을 표현 Char 타입 자바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