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ava 89

[Java] 조건문 2022.10.24

1. if 문 조건식의 결과에 따라 블록 실행 여부가 결정됨 조건식에는 true 또는 false 값을 산출할 수 있는 연산식, boolean 변수가 올 수 있음 조건식이 true : 블록 실행 조건식이 false : 블록을 실행하지 않음 중괄호 { } 블록은 여러 개의 실행문을 하나로 묶기 위해 작성됨 만약 조건식이 true가 될 때 실행해야 할 문장이 하나 밖에 없다면 중괄호 생략 가능 But, 중괄호 블록을 작성하는 것이 좋음 중괄호 블록 생략시 코드의 가독성이 떨어지고 버그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음 if 문 EX) public class IfExample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int score = 93; if(score >= 90) { Sys..

[Java] 제어문 2022.10.24

자바 프로그램 ➡ main() 메소드의 시작 중괄호 ( { ) 에서 끝 중괄호 ( } ) 까지 위에서부터 아래로 실행하는 흐름을 가지고 있음 1. 흐름 제어문 실행 흐름을 개발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바꿀 수 있도록 해주는 것 조건식과 중괄호 {} 블록으로 구성됨 조건식의 연산 결과에 따라 블록 내부의 실행 여부가 결정됨 흐름 제어문을 사용할 경우 다양한 실행 흐름이 생성됨 제어문 블록 내부에는 또 다른 제어문을 사용할 수 있음 EX) if 문 내부에 for문 개발자가 원하는 매우 복잡한 흐름 제어도 가능 제어문의 종류 조건문 : if문, switch문 제어문 블록이 실행 완료되었을 경우 제어문 블록을 빠져나와 정상 흐름으로 돌아옴 반복문 : for문, while문, do-while문 제어문 블록이 실행 완..

[Java] 삼항 연산자 2022.10.24

삼항 연산자 (? : ) : 세 개의 피연산자를 필요로 하는 연산자 ? 앞의 조건식에 따라 콜론( : ) 앞 뒤의 피연산자가 선택된다고 해서 조건 연산식이라고 부름 조건식을 연산하여 true가 나오면 삼항 연산자의 결과는 피연산자2가 됨 조건식을 연산하여 false가 나오면 삼항 연산자의 결과는 피연산자 3이 됨 피연산자 2와 3에는 주로 값이 오고 경우에 따라서 연산식이 올 수도 있음 삼항 연산자 EX) (score > 90) 을 연산하면 true가 나오므로 연산의 결과는 'A' 삼항 연산자는 if 문으로 변경해서 작성할 수 있지만 한 줄에 간단하게 삽입해서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삼항 연산자를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임

[Java] 대입 연산자 2022.10.24

대입 연산자 : 오른쪽 피연산자의 값을 좌측 피연산자인 변수에 저장오른쪽 피연산자는 리터럴 및 변수, 다른 연산식이 올 수 있음단순 대입 연산자 : 단순히 오른쪽 피연산자의 값을 변수에 저장복합 대입 연산자 : 정해진 연산을 수행한 후 결과를 변수에 저장 구분연산식설명단순 대입 연산자변수=피연산자피연산자의 값을 변수에 저장복합 대입 연산자변수+=피연산자피연산자의 값을 변수의 값과 더한 후 다시 변수에 저장 (변수 = 변수 + 피연산자와 동일)변수-=피연산자피연산자의 값을 변수의 값에서 뺀 후 다시 변수에 저장(변수 = 변수 - 피연산자와 동일)변수*=피연산자피연산자의 값을 변수의 값과 곱한 후 다시 변수에 저장(변수 = 변수 * 피연산자와 동일)변수/=피연산자피연산자의 값으로 변수의 값을 나눈 후 다시 ..

[Java] 비트 연산자 2022.10.23

비트 연산자 : 데이터를 비트(bit) 단위로 연산 0과 1이 피연산자 0과 1로 표현이 가능한 정수 타입만 비트 연산을 할 수 있음 실수 타입인 float와 double은 비트 연산 불가능 기능에 따라 비트 논리 연산자 ( &, |, ^, ~ ) 와 비트 이동 연산자 ( , >>> ) 로 구분 일반 논리 연산자 : true와 false 연산 비트 논리 연산자 : 0과 1을 연산 비트 이동 연산자 : 비트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 비트 논리 연산자 비트 논리 연산자 : &, |, ^, ~ &, |, ^ 피연산자가 boolean 타입 ➡ 일반 논리 연산자 피연산자가 정수 타입 ➡ 비트 논리 연산자 구분 연산식 결과 설명 AND (논리곱) 1 & 1 1 두 비트 모드 1일 경우에만 연산 결과가 1 1 0 ..

[Java] 논리 연산자 2022.10.23

논리 연산자는 논리곱 (&&), 논리합 ( || ), 배타적 논리합 (^), 논리 부정 (!) 연산을 수행함피연산자로 boolean 타입만 사용할 수 있음 구분연산식결과설명AND(논리곱)true&&또는&truetrue피연산자가 모두 true일 경우에만연산 결과는 truetruefalsefalsefalsetruefalsefalsefalsefalseOR(논리합)true||또는|truetrue피연산자 중 하나만 true이면연산 결과는 truetruefalsetruefalsetruetruefalsefalsefalseXOR(배타적논리합)true^truefalse피연산자가 하나는 true이고다른 하나가 false일 경우에만연산 결과는 truetruefalsetruefalsetruetruefalsefalsefalse..

[Java] 비교 연산자 2022.10.23

비교 연산자 : 대소 ( , >=, ==, != ) 또는 동등 ( ==, != ) 을 비교해서 boolean 타입인 true / false 를 산출대소 연산자는 boolean 타입을 제외한 기본 타입에 사용할 수 있음동등 연산자는 모든 타입에 사용할 수 있음 구분연산식설명동등비교피연산자1==피연산자2두 피연산자의 값이 같은지를 검사피연산자1!=피연산자2두 피연산자의 값이 다른지를 검사크기비교피연산자1>피연산자2피연산자1이 큰지를 검사피연산자1>=피연산자2피연산자1이 크거나 같은지를 검사피연산자1피연산자2피연산자1이 작은지를 검사피연산자1   피연산자2피연산자1이 작거나 같은지를 검사  타입 일치비교 연산자에서도 연산을 수행하기 전에 타입 변환을 통해 피연산자의 타입을 일치시킴EX) 'A' == 65 : ..

[Java] 문자열 연결 연산자 2022.10.23

문자열 연결 연산자 (+) : 문자열을 서로 결합하는 연산자 + 연사자 : 산술 연산자, 부호 연산자인 동시에 문자열 연결 연산자임 피연산자 중 한쪽이 문자열 ➡+ 연산자가 문자열 연결 연산자로 사용 다른 피연산자를 문자열로 변환하고 서로 결합 String str1 = "JDK" + 6.0; String str2 = str1 + " 특징"; str1에는 문자열 "JDK6.0"이 저장 str2에는 문자열 "JDK6.0 특징"이 저장 + 연산자 구별 +연산자가 산술 연산자인지 문자열 연결 연산자인지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음 어떤 것이 먼저 연산되느냐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오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음 + 연산자의 사용 EX) "JDK" + 3 + 3.0; 문자열과 숫자가 혼합된 + 연산식 : 왼쪽에서부터 오..

[Java] 산술 연산자 2022.10.23

일반적으로 말하는 사칙연산 [ 더하기 (+), 빼기 (-), 곱하기 (*), 나누기 (/) ] + 나머지 연산자 (%) : 총 5개boolean 타입을 제외한 모든 기본 타입에 사용할 수 있음연산식설명피연산자+피연산자덧셈 연산피연산자-피연산자뺄셈 연산피연산자*피연산자곱셈 연산피연산자/피연산자좌측 피연산자를 우측 피연산자로 나눗셈 연산피연산자%피연산자좌측 피연산자를  우측 피연산자로 나눈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 * % 연산자나눗셈을 수행하고 몫이 아닌 나머지를 돌려주는 연산자  피연산자의 타입 일치산술 연산자 ➡ 피연산자들의 타입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 규칙에 따라 타입을 일치시킨 후 연산을 수행 ① 피연산자들이 모두 정수 타입 + int 타입보다 크기가 작은 타입  ➡ 모두 int 타입으로 변환 후 연산 수..